posts / 역사

숫자 4 기피증: 한중일 문화 속 죽음과 행운의 두 얼굴

phoue

4 min read --

엘리베이터 ‘F’ 버튼에서 시작된 동아시아 숫자 미신 탐구.

  • 숫자 4를 기피하는 현상(테트라포비아)의 언어적 기원
  • 한국, 중국, 일본에서 4 기피증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 숫자 4가 가진 긍정적이고 상징적인 의미

우리 곁의 유령, 숫자 4

엘리베이터를 탔는데 4층 버튼 대신 ‘F’ 버튼만 놓여 있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4 기피증은 이처럼 우리 삶 깊숙한 곳에 자리한 문화 현상입니다. ‘테트라포비아(Tetraphobia)‘라고도 불리는 이 현상은 단순 미신을 넘어 건물의 설계, 군대 편제, 심지어 물건 가격까지 결정하며 체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엘리베이터의 ‘F’ 버튼에서 시작된 작은 호기심을 따라, 한·중·일 세 나라를 넘나들며 숫자 4에 얽힌 흥미진진한 비밀을 파헤치는 여정입니다. 이 여정의 끝에서 우리는 숫자가 한 사회의 역사와 심리를 비추는 거울임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엘리베이터의 ‘F’층 버튼
우리에게 익숙한 엘리베이터의 'F'층 버튼. 4에 대한 기피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4 기피증의 시작: 모든 것은 한 글자에서 시작되었다

모든 미스터리의 시작에는 결정적인 단서가 있습니다. 4 기피증의 범인은 바로 ‘소리’입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우연히 똑같은 소리를 갖게 된 두 한자, **‘넉 사(四)‘와 ‘죽을 사(死)’**가 모든 사건의 발단이었죠.

넉 사\(四\)와 죽을 사\(死\)
동일한 발음 '사'를 가진 두 한자, '넉 사\\(四\\)'와 '죽을 사\\(死\\)'. 모든 것의 시작이었습니다.

고대 중국어에서 매우 유사했던 두 단어의 발음은 오늘날 표준 중국어에서 ‘sì’로 완전히 같고, 한국어에서는 ‘사’, 일본어에서는 ‘시(し)‘로 읽히면서 ‘죽음’의 이미지를 그대로 물려받았습니다. 숫자를 말할 때마다 죽음이 연상되는 강력한 ‘인지적 단축키’가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 ‘언어적 사고’는 과거 한국과 일본이 한자 체계를 받아들이면서 문자뿐만 아니라 그 안에 담긴 미신까지 하나의 ‘문화 패키지’로 함께 수입하며 동아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습니다. 당대 지식과 권력의 상징인 ‘문자’를 통해 전파되었기에, 4 기피증은 다른 미신보다 훨씬 더 깊고 끈질기게 세 나라의 문화적 DNA에 뿌리내릴 수 있었습니다.

한중일, 숫자 4를 다루는 각기 다른 방식

‘4=죽음’이라는 공통된 뿌리에서 시작했지만, 이 미신은 한국, 중국, 일본의 각기 다른 문화적 토양에 뿌리내리며 저마다 다른 모습으로 자라났습니다.

한국: 일상에 스며든 은밀한 금기

한국에서 4 기피증은 요란하지 않습니다. 대신 공기처럼 일상 곳곳에 은밀하게 스며들어 ‘찝찝함’을 안겨주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엘리베이터의 ‘F’ 버튼입니다. 숫자는 인정하되 불길한 ‘소리’를 입에 담지 않겠다는 절묘한 언어적 타협이죠.

이러한 ‘조용한 회피’는 사회 전반에서 발견됩니다. 대한민국 육군에는 제4보병사단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과거 불운한 사건이 겹치며 ‘재수 없는 부대’라는 낙인이 찍혔고, 결국 영구 결번 처리되었습니다. 이는 4 기피증이 개인을 넘어 집단의 심리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dvertisement

대한민국 육군 부대 마크
논리와 합리성이 중요한 군대에서조차 4사단은 영구 결번으로 처리되었습니다.

결국 한국의 4 기피증은 개인적 공포라기보다는, 공동체의 조화와 원만한 관계를 위한 ‘사회적 리스크 관리’ 전략에 가깝습니다.

중국: 4와의 전쟁, 숫자가 가격이 되는 곳

중국의 4 기피증은 강렬하고 노골적이며, 철저히 ‘돈’과 결부됩니다. 숫자 8(八, bā)이 ‘돈을 벌다(發財, fācái)‘와 발음이 비슷해 행운의 상징이 되면서, ‘죽음’의 4와 ‘부’의 8이라는 극단적인 대립 구도가 형성되었습니다.

이 구도는 현실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4가 들어간 번호판은 헐값에 팔리지만, 8이 많이 들어간 번호판은 상상을 초월하는 가격에 낙찰됩니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4, 14, 24, 40~49층 등 4가 포함된 모든 층을 통째로 없애버리는 경우도 흔합니다.

중국의 행운의 숫자 8
중국에서 부와 행운의 상징인 숫자 8은 높은 가격에 거래되기도 합니다.

이는 고대 민간 신앙이 현대 자본주의와 만나 변용된 결과입니다. 중국에서 4 기피증은 운명마저 사고파는 현대 자본주의의 욕망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일본: 4와 9, 불운의 이중주

일본에서 4는 혼자가 아닙니다. **숫자 9(九, く)가 ‘고통(苦, く)‘과 발음이 같아 강력한 파트너와 함께 ‘불운의 듀엣’**을 형성합니다. ‘죽음(死, し)‘의 4와 ‘고통(苦, く)‘의 9가 함께 기피의 대상이 되는 것이죠.

병원 내부 복도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병원에서는 4와 9에 대한 금기가 더욱 강력하게 작용합니다.

이 금기는 특히 병원에서 강력하게 나타납니다. 4호실, 9호실은 물론, ‘죽으러 가다(死に)‘와 발음이 비슷한 42호실, ‘사산(死産)‘을 연상시키는 43호실(산부인과)은 절대 사용하지 않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일본인들이 4를 ‘시’ 대신 ‘죽음’과 관련 없는 다른 발음인 ‘욘(よん)‘으로 읽어 불길함을 피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불안을 가장 필요한 곳에서 엄격하게 관리하는 그들만의 정교한 위기관리 시스템을 보여줍니다.

Advertisement

비교: 한눈에 보는 한·중·일 4 기피증

구분한국중국일본
기피 강도중(中)강(强)강(强, 특정 상황)
핵심 특징사회적 배려, 암묵적 회피경제적 가치(8과 대립)특정 상황(병원) 및 9와 결합
대처 방식‘F’ 등 우회적 대체4 포함 층/호수 제거, 가격 반영‘욘’ 등 다른 발음 사용

4의 또 다른 얼굴: 안정과 완전함의 상징

하지만 4에게 ‘죽음’이라는 누명만 씌우는 것은 억울한 일입니다. 4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랫동안 ‘안정’, ‘완전함’, ‘균형’을 상징하는 긍정적인 숫자였습니다.

  • 자연의 질서: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四季)**과 **동, 서, 남, 북의 사방(四方)**은 세상의 순환과 완전함을 상징합니다.
  • 행운의 상징: 서양의 네잎클로버는 동아시아에서도 행운의 의미로 통용됩니다.
  • 철학과 예술: 군자의 덕목을 상징하는 사군자(四君子),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四天王) 등은 4를 통해 완전무결함과 위엄을 드러냅니다.

네잎클로버
행운의 상징 네잎클로버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는 이러한 금기를 깨고 4를 당당함의 상징으로 사용하는 등, 문화적 의미를 스스로 재정의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수백 년간 이어진 ‘4=죽음’ 공식에 균열을 내는 거대한 문화적 진화의 단면일지도 모릅니다.

결론: 숫자를 통해 우리 문화를 읽다

엘리베이터의 작은 ‘F’ 버튼에서 시작된 우리의 여정은 숫자 4에 얽힌 미신이 결코 단순한 현상이 아님을 보여주었습니다.

  • 핵심 요약:

    1. 언어적 기원: 4 기피증은 ‘넉 사(四)‘와 ‘죽을 사(死)‘의 우연한 발음 일치에서 시작되었습니다.
    2. 문화적 변용: 이 미신은 한국에서는 ‘배려’, 중국에서는 ‘거래’, 일본에서는 ‘상황’이라는 각기 다른 문화적 코드로 변모했습니다.
    3. 의미의 이중성: 4는 죽음의 그림자와 동시에 안정과 완전함이라는 긍정적 의미를 지닌, 양면성을 가진 숫자입니다.

결국 숫자 4의 이야기는 바로 우리 자신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이제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달력을 볼 때, 그 숫자를 수천 년의 역사와 세 나라의 문화 심리가 압축된 흥미로운 거울로 바라보는 것은 어떨까요?

참고자료
#4기피증#테트라포비아#숫자4#동아시아문화#한중일비교#미신

Recommended for You

쇠락하는 조선, 민중의 희망이 된 『정감록』: 당신의 미래 지도는 어디에 있나요?

쇠락하는 조선, 민중의 희망이 된 『정감록』: 당신의 미래 지도는 어디에 있나요?

8 min read --
"M&M's와 스니커즈, 그리고 마스(Mars)의 성공을 만든 비밀 원칙 5가지"

"M&M's와 스니커즈, 그리고 마스(Mars)의 성공을 만든 비밀 원칙 5가지"

5 min read --
철의 왕국 고구려, '역대급 황제' 당 태종을 꺾은 비결

철의 왕국 고구려, '역대급 황제' 당 태종을 꺾은 비결

3 min read --

Advertisemen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