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 인문

얼음과 시간이 빚은 디저트, 빙수 이야기

phoue

3 min read --

머나먼 옛날, 귀한 얼음 한 조각

여러분, 무더운 여름날 우리를 구원해 주는 시원한 빙수 한 그릇, 이 빙수가 사실은 아주 먼 옛날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빙수의 여권에 첫 도장이 찍힌 곳은 놀랍게도 기원전 3000년경의 중국이라고 해요. 기록에 따르면, 사람들은 눈이나 얼음을 잘게 부수어 그 위에 꿀과 과일즙을 얹어 먹었다고 합니다.

고대 중국에서 눈 위에 꿀을 뿌려 먹는 상상도
고대 중국에서 눈 위에 꿀을 뿌려 먹는 상상도

비슷한 시기, 저 멀리 로마 제국에서도 황제는 노예들을 시켜 높은 산에서 귀한 눈을 가져오게 한 뒤 과일즙을 섞어 즐겼다고 하니, 예나 지금이나 더위를 피하고픈 마음은 똑같았나 봅니다. 하지만 냉장고가 없던 시절, 얼음은 그야말로 권력과 부의 상징이었죠. 아무나 즐길 수 없는, 아주 특별하고 귀한 디저트였답니다.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간 달콤한 얼음

시간이 흘러 얼음 디저트는 각 나라의 문화와 만나며 자신만의 색깔을 입기 시작했습니다.

  • 일본의 ‘카키고리(かき氷)’: 7세기에서 9세기경, 일본의 귀족들은 ‘카키고리’라는 얼음 디저트를 즐겼습니다. 훗날 하와이로 이주한 일본인들이 이 문화를 가져갔고, 현지 과일즙과 만나 오늘날 하와이의 명물인 ‘셰이브 아이스(Shave Ice)‘가 탄생했죠.
    카키고리\(かき氷\)
    카키고리\\(かき氷\\)
  • 다양한 아시아의 빙수: 중국과 대만에서는 과일과 젤리 등을 듬뿍 올린 ‘바오빙(刨冰)’, 필리핀에서는 여러 재료를 섞어 먹는 ‘할로할로(Halo-Halo)‘가 사람들의 더위를 식혀주었답니다.
    바오빙
    바오빙

19세기에 들어 얼음을 가는 기계가 발명되고, 20세기에는 인공적으로 얼음을 만들 수 있게 되면서 빙수는 드디어 귀족의 디저트에서 모두가 즐기는 대중적인 간식으로 거듭나게 됩니다.


한국의 빙수, 그 특별한 발자취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빙수는 어떤 길을 걸어왔을까요? 우리의 빙수 이야기 역시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조선시대, 석빙고의 얼음별미

조선시대의 왕과 관리들은 ‘석빙고(石氷庫)‘라는 천연 냉장고에 보관해둔 귀한 얼음을 잘게 부숴 과일을 얹어 먹었다고 해요. 마치 과일 화채처럼 즐기는, 선택받은 소수만을 위한 여름 별미였죠.

조선시대 석빙고
조선시대 석빙고

# 팥빙수의 등장과 대중화

오늘날 우리가 ‘빙수’하면 떠올리는 팥빙수의 모습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의 ‘얼음팥(氷あずき)‘이 들어오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잘게 간 얼음 위에 달콤한 팥을 올린 이 새로운 디저트는 곧 많은 사람의 입맛을 사로잡았죠. 한국전쟁 이후에는 미군을 통해 연유, 초콜릿 시럽, 젤리 등 서양의 재료들이 들어오면서 팥빙수는 더욱 다채로운 모습으로 변신하기 시작했습니다.


한국 현대 빙수 연대기: 팥빙수에서 눈꽃빙수까지

단순한 얼음과자를 넘어, 시대의 문화와 유행을 담아온 한국 현대 빙수의 화려한 변천사를 시대별로 따라가 볼까요?

# 1980년대: 고급 디저트의 탄생, ‘밀탑’

1980년대, 팥빙수는 ‘고급 디저트’로 화려하게 데뷔합니다. 그 중심에는 1985년, 압구정 현대백화점에 문을 연 **밀탑(Mealtop)**이 있었죠. 당시의 빙수가 젤리, 후르츠 칵테일 등 여러 재료를 푸짐하게 올리는 스타일이었다면, 밀탑은 곱게 간 우유 얼음 위에 정성껏 만든 팥과 쫀득한 찹쌀떡만을 올린 ‘밀크빙수’를 선보였습니다. 이 단순하지만 완벽한 조합은 팥빙수를 고급 디저트 반열에 올려놓았고, ‘밀탑’은 오늘날까지도 ‘팥빙수의 정석’으로 불리며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밀탑의 클래식한 밀크빙수 한 그릇
밀탑의 클래식한 밀크빙수 한 그릇

# 1990년대: 상큼함의 시대, 과일빙수의 약진

90년대에 들어서면서 빙수는 새로운 주인공을 맞이합니다. 바로 ‘과일’이죠. 특히 숙명여대 앞 ‘와플하우스’ 등으로 대표되는 가게들의 딸기빙수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신선한 과일이 듬뿍 올라간 상큼한 빙수는 젊은 세대의 입맛을 사로잡았고, 가정용 빙수기가 보급되면서 집에서 각자의 스타일대로 빙수를 만들어 먹는 문화가 퍼지기도 했습니다.

90년대 과일빙수
90년대 과일빙수

# 2000년대: 개성의 폭발, 퓨전빙수의 등장

새로운 세기가 열린 2000년대, 카페 문화가 확산되면서 빙수는 더욱 과감하고 개성 넘치는 모습으로 변신합니다. 쌉쌀한 녹차빙수, 진한 커피빙수, 그리고 치즈케이크나 브라우니를 올린 퓨전빙수들이 등장했죠. 각 프랜차이즈 카페와 개인 카페들은 저마다의 시그니처 빙수를 내놓으며 사람들의 발길을 끌었습니다.

퓨전 빙수
퓨전 빙수

# 2010년대 이후: 빙수 혁명, ‘설빙’과 전문점 시대

2010년대는 가히 ‘빙수 혁명’의 시대였습니다. 그 혁명을 이끈 주역은 2013년 부산에서 시작된 코리안 디저트 카페 **설빙(Sulbing)**이었죠. 설빙은 우유를 곱게 갈아 만든 ‘눈꽃얼음’ 위에 팥 대신 고소한 인절미 콩가루와 쫀득한 인절미를 올린 **‘인절미설빙’**으로 대한민국에 신드롬을 일으켰습니다. 팥 없는 빙수는 상상할 수 없다는 고정관념을 깨뜨린 혁신이었죠.

설빙 인절미 빙수
설빙 인절미 빙수

설빙의 성공 이후, 동빙고처럼 전통 팥의 맛을 고수하는 가게부터 망고, 멜론 등 프리미엄 생과일을 통째로 올린 호텔 빙수까지, 빙수 전문점 시대가 활짝 열렸습니다. 이제 빙수는 단순한 간식을 넘어 하나의 ‘요리’로 자리 잡으며 전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독창적인 디저트 문화로 발전했답니다.


아주 먼 옛날, 한여름의 귀한 사치품이었던 차가운 얼음 한 조각. 그것은 시간을 건너고 바다를 건너, 우리 곁에서 시대의 이야기를 담은 달콤하고 시원한 행복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올여름, 여러분의 추억이 담긴 빙수 한 그릇과 함께 이 길고도 달콤한 이야기를 한번 떠올려보는 건 어떨까요?

#빙수#팥빙수#디저트#여름#역사#세계사#한국사#음식이야기#빙수맛집#밀탑#설빙

Recommended for You

자율성 프리미엄: 돈으로 시간을 사는 법, 당신도 진짜 부자가 될 수 있다

자율성 프리미엄: 돈으로 시간을 사는 법, 당신도 진짜 부자가 될 수 있다

13 min read --
아마존과 구글은 어떻게 실패를 설계해 성공했는가?

아마존과 구글은 어떻게 실패를 설계해 성공했는가?

9 min read --
월급은 오르는데 왜 행복하지 않을까? '시간 부자'가 되는 비밀

월급은 오르는데 왜 행복하지 않을까? '시간 부자'가 되는 비밀

6 min read --

Advertisemen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