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첫 문장을 쓰지 못해 하얀 화면만 멍하니 바라본 적 있으신가요? 완벽을 향한 끝없는 추구가 사실 우리를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만드는 교묘한 ‘함정’일 수 있다는 생각, 해보셨나요?
개요
- 완벽주의라는 심리적 함정의 실체를 이해하고, 이것이 초래하는 번아웃과 미루기 습관, 인간관계의 문제를 파악합니다.
- 일본의 미학 와비사비와 킨츠기를 통해 불완전함 속에서 발견하는 고유한 아름다움과 삶의 지혜를 배웁니다.
- 페니실린, 포스트잇, 그리고 MVP 전략과 같은 혁신 사례를 통해 불완전함이 어떻게 혁신과 성장을 이끄는 실용적인 도구가 되는지 깨닫습니다.
완벽주의라는 무거운 갑옷: 완벽함의 대가
우리는 모두 크고 작게 완벽을 꿈꾸며 살아갑니다. 성공으로 가는 길은 흠 하나 없는 탄탄대로일 거라 믿지만, 현실은 정반대일 때가 많습니다. 오히려 완벽에 대한 강박은 우리를 불안과 번아웃, 끝없는 미루기 습관으로 몰아넣죠.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진짜 완벽주의는 건강한 탁월함 추구와는 거리가 멉니다. 그것은 _‘완벽하지 않으면 나는 가치가 없다’는 두려움에 뿌리를 둔, 지독히 소모적인 믿음 체계_입니다.
완벽주의의 가장 큰 특징은 ‘모 아니면 도’라는 흑백논리적 사고입니다. 단 하나의 흠결이라도 발견되면, 전체 노력이 물거품처럼 느껴지는 것이죠. 이런 경직된 마음의 틀은 엄청난 압박감을 만들어냅니다. 아무리 큰 성취를 이뤄도 만족감 대신 ‘더 잘할 수 있었는데’라는 아쉬움과 의심에 시달리게 되죠.
완벽주의가 당신을 망치는 3가지 방법
- 정신과 감정의 번아웃: 완벽주의자들은 실수에 대한 불안과 타인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으로 항상 날이 서 있습니다. 쉴 때조차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불안감을 느끼고, 삶을 즐길 여유가 없습니다. 이는 마치 자동차 엔진을 항상 최고 속도로 돌리는 것과 같습니다. 결국엔 과열되어 멈춰 설 수밖에 없죠. 이것이 바로 번아웃입니다. 특히 성과주의와 완벽주의가 결합될 때, 성공한 사람들조차 갑자기 모든 에너지가 소진되는 번아웃 증후군에 빠지기 쉽습니다.
- 미루기 습관의 역설: ‘완벽하게 해내야 한다’는 부담감이 너무 큰 나머지, 아예 시작조차 못 하는 상황을 겪어본 적 있으신가요? 이를 ‘회피형 완벽주의’라고 합니다. 이건 결코 게으름이 아닙니다. 완벽하지 못한 결과물을 내놓을 바에야 차라리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 낫다는, 잘못된 자기보호 기제인 셈이죠.
- 삐걱거리는 인간관계: 완벽주의는 나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자신의 높은 기준을 타인에게도 똑같이 적용하기 때문에 비판적이고 타협의 여지를 주지 않는 태도를 보이기 쉽습니다. 이런 모습은 다른 사람들에게 긴장감을 유발하고, 결국 팀워크를 해치거나 관계에 균열을 만듭니다. 결국 ‘아무도 내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해’라는 생각에 고립되기도 하죠.
완벽주의는 단 하나의 얼굴만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이토록 우리를 갉아먹는 완벽주의가 내 안에서는 어떤 모습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아래 표를 통해 한번 확인해보세요.
완벽주의 유형별 특징
유형 | 핵심 믿음 | 주요 행동 |
---|---|---|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 “나는 스스로에게 완벽해야만 해.” | 극단적인 자기 비판, 자신의 결점을 용납하지 못함, 스스로를 가혹하게 몰아붙임. |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 “나는 다른 사람들에게 완벽하게 보여야 해. 그래야 인정받을 수 있어.” | 타인의 시선과 평가에 극도로 예민함, 거절에 대한 두려움, 남을 기쁘게 하려는 성향. |
신경증적 완벽주의 | “완벽은 불가능해. 그러니 나는 영원한 실패자야.” | 실패를 피하려는 강한 욕구 때문에 아예 시도조차 하지 않음, 학습된 무기력, 모든 것을 비관적으로 해석. |
결함의 미학: 와비사비와 킨츠기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완벽함만이 아름답다는 서구적 미의 기준에 익숙한 우리에게, 동양의 철학은 전혀 다른 시각을 제시합니다. 만약 흠집과 균열, 낡고 바랜 흔적이 실패의 증거가 아니라, 그 자체로 고유한 아름다움과 역사를 품고 있다면 어떨까요?
와비사비: 불완전하고 덧없는 것들의 아름다움
**와비사비(わび・さび)**는 불완전하고, 비영구적이며, 소박한 것들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일본의 미학입니다. ‘와비’가 물질적 풍요보다는 단순함과 고요함에서 오는 충만함을 의미한다면, ‘사비’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자연스럽게 낡고 마모되면서 깃드는 깊이와 멋을 뜻합니다.
고요한 정원의 이끼 낀 바위, 장인의 손길이 느껴지는 비대칭의 찻잔, 손때 묻어 닳아버린 아이의 애착 인형 같은 것들을 떠올려보세요. 이런 것들은 완벽하지 않기에, 오히려 더 깊은 울림과 이야기를 전해줍니다. 와비사비는 우리에게 완벽을 향한 끝없는 욕망에서 벗어나, _이미 가진 것, 오래된 것, 익숙한 것의 가치_를 발견하라고 속삭입니다.
킨츠기: 상처를 황금으로 메우다
이러한 불완전함의 미학을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예술이 바로 **킨츠기(金継ぎ)**입니다. 킨츠기는 깨진 도자기를 옻칠과 금가루를 섞어 다시 붙이는 일본의 전통 수리 기법이죠.
킨츠기의 핵심 철학은 손상을 숨기려 하지 않는다는 데 있습니다. 오히려 깨진 흔적을 금빛 선으로 강조하여, 그 상처와 회복의 과정을 물건의 고유한 역사로 승화시킵니다. 깨진 그릇은 수리를 통해 이전보다 더 독특하고 가치 있는 존재로 다시 태어나는 것입니다. 이 킨츠기의 이야기는 단순히 오래된 그릇을 고치는 기술을 넘어, 우리 삶의 상처와 회복에 대한 깊은 은유를 담고 있습니다. 깨짐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이야기의 시작이라는 것이죠. 이는 우리 삶의 실패와 아픔이 부끄러운 비밀이 아니라, 우리를 더욱 독특하고 강인한 존재로 만들어준 회복의 증거임을 일깨워줍니다.
‘뜻밖의 행운’: 천재성은 어떻게 불완전함 속에서 탄생하는가
불완전함이 철학적으로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현실 세계에서 혁신과 발견을 이끄는 매우 실용적인 도구라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역사를 바꾼 위대한 발견들은 종종 완벽한 계획이 아닌, 사소한 실수와 ‘뜻밖의 행운(Serendipity)’에서 비롯되었습니다.
Advertisement
사례 1: 엉성한 실험실이 낳은 기적 - 페니실린과 포스트잇
페니실린의 발견: 1928년, 알렉산더 플레밍의 실험실은 그다지 깔끔하지 않았습니다. 휴가에서 돌아와 보니, 한 접시에 정체불명의 푸른곰팡이가 피어 있었고, 그 주변의 포도상구균이 모두 죽어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만약 그가 ‘완벽한’ 과학자였다면, 오염된 배양 접시를 불쾌해하며 바로 버렸을 겁니다. 하지만 플레밍의 위대함은 그 ‘실수’를 그냥 지나치지 않고 “왜?”라고 질문한 데 있었습니다. 인류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은 바로 이 ‘엉성함’과 ‘우연’ 속에서 탄생했습니다.
포스트잇의 탄생: 1968년, 3M의 연구원 스펜서 실버는 강력한 접착제를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었지만, 붙였다 떼어도 끈적임이 남지 않는 ‘쓸모없는’ 약한 접착제를 만들고 말았죠. 몇 년 후, 그의 동료인 아트 프라이는 교회 성가대에서 찬송가 책에 끼워둔 책갈피가 자꾸 떨어져 불편을 겪고 있었습니다. 바로 그때, 그는 실버의 ‘실패한’ 접착제를 종이에 발라보면 어떨까 하는 기막힌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그렇게 실패작으로 버려질 뻔했던 발명품은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사무용품 중 하나인 포스트잇으로 화려하게 부활했습니다.
사례 2: ‘일단 출시’의 위력 - 최소기능제품(MVP) 혁명
이러한 ‘실수의 힘’은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문화에서 **최소기능제품(Minimum Viable Product, MVP)**이라는 전략으로 체계화되었습니다. MVP는 완벽한 제품을 만들기 전에,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핵심 기능만 탑재한 버전을 먼저 출시하는 전략입니다. 즉, ‘의도적으로 불완전한 제품’을 세상에 내놓는 것이죠.
에어비앤비의 시작: 2007년, 브라이언 체스키와 조 게비아는 값비싼 월세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거실에 공기 주입식 매트리스를 놓고 아침 식사를 제공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습니다. 그들의 첫 MVP는 지금처럼 세련된 앱이 아니었습니다. 자신들의 아파트 사진 몇 장과 연락처를 올린 아주 간단한 웹페이지가 전부였죠. 모든 것이 엉성했지만, 이 MVP는 ‘사람들이 기꺼이 낯선 사람의 집에서 돈을 내고 머물 것이다’라는 핵심 가설을 완벽하게 증명해냈습니다.
드롭박스의 기발한 MVP: 드롭박스 창업자 드류 하우스턴은 실제 제품 대신, 제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주는 3분짜리 ‘설명 동영상’을 만들어 공개했습니다. 이 동영상 하나가 입소문을 타면서, 베타 서비스 대기자 명단은 하룻밤 사이에 5,000명에서 75,000명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실제 코드는 한 줄도 없었지만, 시장의 폭발적인 수요를 확인하기에는 충분했던 것이죠.
보여줄 용기: 당신의 불완전한 이야기를 끌어안는 법
완벽주의라는 무거운 방패를 벗고, 불완전함을 아름다움과 기회로 받아들이기 위해 우리에게 필요한 마지막 열쇠는 바로 ‘용기’입니다. 세계적인 연구자 브레네 브라운은 완벽주의를 ‘20톤짜리 방패’에 비유합니다. 이 방패는 우리를 무겁게 짓누르고, 다른 사람들과 진정으로 연결되는 것을 가로막을 뿐입니다.
브라운 박사는 완벽주의의 해독제로 **취약성(vulnerability)**을 제시합니다. 그녀는 취약성을 나약함이 아니라, 결과를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기꺼이 나 자신을 드러내는 ‘용기’라고 재정의합니다. 깊은 사랑과 소속감을 느끼는 사람들은 불완전할 용기를 가진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나는 지금 이 모습 그대로 사랑과 소속감을 누릴 자격이 있다”고 믿습니다. 이는 “내가 완벽해지면, 그때 비로소 가치 있는 사람이 될 거야”라고 믿는 완벽주의자의 신념과 정면으로 배치됩니다.
브레네 브라운이 말하는 ‘온마음으로 사는 삶(wholehearted living)’이란 다음 세 가지를 기르는 것입니다.
- 용기: 나의 불완전함을 포함한 모든 것을 온 마음으로 드러낼 용기.
- 연민: 다른 사람에게 친절하기 전에, 먼저 나 자신에게 친절할 줄 아는 마음.
- 연결: ‘~가 되어야 한다’는 강박을 내려놓고, 있는 그대로의 나로 살아갈 때 얻어지는 진정한 관계.
이것이야말로 불완전함을 온전히 끌어안는 삶의 태도입니다. 나를 취약하게 만드는 것들이 사실은 나를 가장 아름답게 만드는 것임을 믿는 것. 이는 깨진 틈을 황금으로 채우는 킨츠기의 철학과 정확히 맞닿아 있습니다. 우리의 취약성이야말로 우리 삶의 가장 빛나는 황금선인 셈이죠.
‘나는 충분하다’는 선언은 결코 현실 안주나 나태함을 위한 변명이 아닙니다. 역설적이게도, 이 믿음이야말로 진정한 성장과 회복탄력성, 높은 성취를 가능하게 하는 가장 단단한 토대입니다. 진정한 탁월함으로 가는 길은 ‘나는 완벽해야 해’가 아니라 ‘나는 이미 가치 있어’라는 믿음에서 시작되는 것입니다.
Advertisement
불완전해서 더없이 멋진 당신의 삶을 위한 안내서
지금까지 우리는 완벽주의가 얼마나 교묘한 함정인지, 불완전함이 얼마나 아름답고(킨츠기), 생산적이며(MVP), 용기 있는 삶의 핵심(취약성)인지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이제 이 무거운 방패를 내려놓고, 조금 더 가볍고 자유롭게 살아갈 시간입니다.
불완전함을 끌어안는 4가지 연습
- ‘이만하면 됐어’ 주문 외우기 (내 삶의 MVP): 거창한 목표 대신 아주 작은 시작을 해보세요. 완벽한 소설을 쓰겠다는 목표 대신, ‘쓰레기 같은 초고 한 페이지 쓰기’를 목표로 삼는 겁니다. 시작의 장벽을 낮추면, 미루던 일을 마침내 시작할 수 있게 됩니다.
- 실패를 ‘데이터’로 이름 바꾸기: 계획대로 일이 풀리지 않았을 때, “나는 실패했어”라고 말하는 대신 “이번 일을 통해 무엇을 배웠지?”라고 질문을 바꿔보세요. 내 삶을 실험실 삼아 끊임없이 배우는 과학자의 태도를 갖는 겁니다. 이렇게 생각을 바꾸면 좌절은 개인적인 모욕이 아니라 성장을 위한 귀중한 교훈이 됩니다.
- 의식적으로 자기-연민 연습하기: 완벽주의자는 자기 비판의 대가입니다. 그 해독제는 자기-연민입니다. 실수를 했을 때, ‘만약 내 가장 친한 친구가 이런 실수를 했다면 뭐라고 말해줄까?’라고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그리고 그 따뜻한 말을 나 자신에게 그대로 들려주는 겁니다. 이 작은 연습이 끝없는 자책의 고리를 끊어줄 수 있습니다.
- 나만의 킨츠기 기념하기: 우리의 중심 은유였던 킨츠기를 다시 떠올려보세요. 과거에 겪었던 힘든 일, 마음속의 ‘상처’를 하나 떠올려보세요. 그것을 숨기려 애쓰는 대신, 그 경험이 지금의 나를 어떻게 만들었는지, 무엇을 가르쳐주었는지, 어떻게 나만의 독특하고 회복력 있는 이야기의 일부가 되었는지 가만히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이렇게 할 때 우리는 비로소 내 삶의 깨진 틈을 아름다운 황금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될 겁니다.
결론
완벽주의는 우리를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게 하는 교묘한 함정입니다.
- 완벽주의는 번아웃, 미루기, 인간관계의 균열을 초래하며 우리의 성장을 방해합니다.
- 불완전함을 받아들이는 것은 와비사비와 킨츠기 같은 철학적 아름다움을 넘어, 페니실린과 MVP 전략처럼 실제적인 혁신과 발견의 원동력이 됩니다.
-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취약성을 드러낼 용기를 갖고, ‘나는 이미 충분하다’는 자기연민의 믿음을 기르는 것입니다.
이제 완벽주의라는 무거운 방패를 내려놓고, 당신의 어수선하고 아름다우며 불완전한 모습을 그대로 끌어안고, 더 진솔하고 용기 있는 삶을 시작할 때입니다. 이 글이 당신의 새로운 시작에 작은 힘이 되기를 바랍니다.
참고자료
- 완벽주의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 광주가톨릭대학교 [https://ti.gjc.ac.kr/data/1028665756_2h9cvuWn_2_EC9984EBB2BDECA3BCEC9D98EC9790_EB8C80ED959C_EC8BACEBA6ACED9599ECA081_EAB3A0ECB0B0.pdf]
- ‘역시 난 안돼’…정신건강 해치는 완벽주의, 혹시 나도? - 시사저널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66733]
- 직장인 ‘번아웃 증후군’… ESG로 풀어보자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5708]
- 번아웃에 빠지기 쉬운 ‘완벽주의’ 나도 혹시? - 헬스조선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0061702731]
- 완벽주의자들이 번아웃이 잘 오는 이유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AZBGSTu1lCs]
- 완벽주의, 방어기제로 쌓은 모래 요새 - 성대신문 [http://www.skkuw.com/news/articleView.html?idxno=23207]
- 완벽주의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C%99%84%EB%B2%BD%EC%A3%BC%EC%9D%98]
- 완벽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99%84%EB%B2%BD%EC%A3%BC%EC%9D%98]
-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OAK 국가리포지터리 [https://oak.go.kr/central/journallist/journaldetail.do?article_seq=19309]
- 08화 불완전함의 미학 - 브런치 [https://brunch.co.kr/@@gojW/4]
- 와비사비의 경이: 일본 예술과 삶에서 불완전함을 포용 … - Trip To Japan [https://www.triptojapan.com/ko/blog/wabi-sabi-wonders-embracing-imperfection-in-japanese-art-and-life]
- [Review] 완벽하게 불완벽한, 매일 매일, 와비사비! - 아트인사이트 [https://www.artinsight.co.kr/news/view.php?no=41052]
- 도자기 수리 공예 킨츠기(金継ぎ)의 역사적 기원과 철학적 의미 - 보심 블로그 [https://bosim.kr/1579]
- 킨츠기 (r3 판) - 나무위키 [https://namu.wiki/w/%ED%82%A8%EC%B8%A0%EA%B8%B0?uuid=9410c98e-dd9d-4fa6-bbc6-32c0da32b02c]
- The Beautiful Fault 결함에서 찾은 아름다움, 쿠실 킨츠기 [https://pbp.co.kr/magazine/10/26/01]
- 상처를 껴안는 아름다움: 서양에서 재해석된 킨츠기 철학 - 보심 블로그 [https://bosim.kr/1588]
- 킨추기 Kintsugi 金継ぎ, 깨진 조각들의 예술 - Blessing & Resting Magazine [https://www.bnrmagazine.com/%ED%82%A8%EC%B6%94%EA%B8%B0-kintsugi-%E9%87%91%E7%B6%99%E3%81%8E-%EA%B9%A8%EC%A7%84-%EC%A1%B0%EA%B0%81%EB%93%A4%EC%9D%98-%EC%98%88%EC%88%A0/]
- 상처와 되살림의 미학 - 데일리투머로우 [https://www.dailytw.kr/news/articleView.html?idxno=30392]
- 인류를 구원한 약 ‘페니실린’ 개발 속 숨겨진 이야기 - 헬스조선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18021200741]
- [상식 쏙 문해력 쑥] <75> 세렌디피티, 우연이 가져다 준 성공 - 한국교육신문 [https://www.hangyo.com/news/article.html?no=98372]
- 인류를 구한 최초의 항생제 ‘페니실린’ / YTN 사이언스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9pQesBf9LZ4]
- 포스트잇은 실패한 발명품이다? : 산업정보포털 i-DB [https://idb.imarket.co.kr/content/detail?contNo=100000010564]
- 포스트잇은 몇번이나 뗐다 붙였다 할 수 있을까? [우리가 몰랐던 과학 이야기] (314) -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30927502207]
- 실패한 접착제가 만든 포스트잇 성공 경험 고집 말고, 실패 경험 누적·기록하라 - 이코노미조선 [https://economy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8/04/2019080400025.html]
- [재미있는 발명 이야기] 포스트잇 -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kid/kid_science/kid_ai/2002/11/17/546LHK7AQWTTIXYTJC3MRHIZ4U/]
- 어찌, 내가 성공할 MVP가 될 상인가 - LABBIT [https://labbit.kr/blog/detail/18]
- 최소 기능 제품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B5%9C%EC%86%8C_%EA%B8%B0%EB%8A%A5_%EC%A0%9C%ED%92%88]
- [PM] MVP란? 장점과 성공사례, 프로토타입과 차이점 - velog [https://velog.io/@blockzzie/PM-MVP%EB%9E%80]
- MVP(최소 기능 제품)로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성공시키는 방법 | 이랜서 블로그 [https://www.elancer.co.kr/blog/detail/70]
- 대단히 성공적인 MVP (최소존속제품) 사례 10가지 - 비즈니스모델 젠 ZEN [https://businessmodelzen.co.kr/%EB%8C%80%EB%8B%A8%ED%9E%88-%EC%84%B1%EA%B3%B5%EC%A0%81%EC%9D%B8-mvp-%EC%B5%9C%EC%86%8C%EC%A1%B4%EC%86%8D%EC%A0%9C%ED%92%88-%EC%82%AC%EB%A1%80-10%EA%B0%80%EC%A7%80/]
- MVP (최소기능제품) - 브런치 [https://brunch.co.kr/@@oZ3/1588]
- Dropbox, Airbnb, Uber의 비밀 - 브런치 [https://brunch.co.kr/@lbyd-hj/15]
- ‘드롭박스’가 mvp를 제작하지않고 투자받은 방법 | 예비창업패키지 [https://bug4.tistory.com/5]
- The Power of Vulnerability by Brene Brown (Transcript) [https://fs.blog/great-talks/power-vulnerability-brene-brown/]
- 취약성의 숨은 힘 - 브런치 [https://brunch.co.kr/@seojinnam/18]
- [마음 가면] 숨기지 마라, 드러내면 강해진다 #브레네_브라운 #더퀘스트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SfIVE9XzlYc]
- 완벽주의는 독이다. 완벽주의 극복 방법 4가지 - 북트레싱 [https://booktracing.com/%EC%99%84%EB%B2%BD%EC%A3%BC%EC%9D%98-%EA%B7%B9%EB%B3%B5-%EB%B0%A9%EB%B2%95/]
- 완벽주의자를 위한 마인드 세팅 (완벽주의 극복 방법) - 에스빠냐 디지털노마드 조이 [https://yuana157.tistory.com/entry/%EC%99%84%EB%B2%BD%EC%A3%BC%EC%9D%98%EC%9E%90%EB%A5%BC-%EC%9C%84%ED%95%9C-%EB%A7%88%EC%9D%B8%EB%93%9C-%EC%84%B8%ED%8C%85-%EC%99%84%EB%B2%BD%EC%A3%BC%EC%9D%98-%EA%B7%B9%EB%B3%B5-%EB%B0%A9%EB%B2%95]
- 완벽주의에서 벗어나고 극복하는 방법 - 메모리허브 [https://memoryhub.tistory.com/entry/%EC%99%84%EB%B2%BD%EC%A3%BC%EC%9D%98%EC%97%90%EC%84%9C-%EB%B2%97%EC%96%B4%EB%82%98%EA%B3%A0-%EA%B7%B9%EB%B3%B5%ED%95%98%EB%8A%94-%EB%B0%A9%EB%B2%95]
- 완벽주의 극복방법 3가지 - 쉽게 불안감을 느끼고, 실수 했을 때 자주 멘탈이 나간다면 봐야할 심리학 영상 - YouTube [https://m.youtube.com/watch?v=OmBoMfOxg4g&pp=ygUQI-ygleqyveuvuOq1kOyImA%3D%3D]